트랄라레로 트랄랄라 뜻과 밈 종류 총정리

트랄라레로 트랄랄라 뜻과 밈 종류 총정리

“트랄라레로 트랄랄라.” 뜻을 알 수 없는 이 말이 2025년 초반, 전 세계 숏폼 플랫폼을 강타했습니다. 단순한 장난처럼 들리지만, 기묘한 AI 이미지와 결합하며 MZ세대가 열광한 인터넷 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. 한국에서는 댓글 밈과 패러디 콘텐츠로 변주되며 빠르게 확산되었고, 그 짧은 유행에도 불구하고 AI 시대 밈 문화의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.

목차

트랄라레로 트랄랄라란 무엇인가?

(사진출처: 나무위키)

트랄라레로 트랄랄라는 Italian Brainrot 계열 밈입니다. ‘Brainrot’은 직역하면 “뇌가 썩는다”는 뜻으로, 말도 안 되지만 멍하니 보게 되는 콘텐츠를 의미합니다. 여기에 이탈리아 억양 같은 음성을 덧붙여 특유의 혼란스러운 매력을 강조한 것이 Italian Brainrot입니다. 시초는 2025년 1월 틱톡에서 @burger677 유저가 초안을 올리며 첫 등장을 한 후에 1월 8일, @elchino1246 유저가 상어와 갈매기를 합성한 이미지를 공유했습니다. 그 다음으로 1월 13일, @amoamimandy.1a 유저가 ‘나이키 신발을 신은 세 다리 상어’ 영상을 올리며 폭발적 인기를 얻는데 성공합니다. 해당 영상은 삭제됐지만, 나이키 운동화를 신은 상어 캐릭터는 곧 트랄라레로 트랄랄라의 대표 이미지로 꼽힙니다.

트랄라레로 트랄랄라 제작 방식과 파생 캐릭터들

트랄라레로 트랄랄라 같은 캐릭터들은 대부분 AI 합성 이미지에서 출발했습니다. 설정은 고정되지 않고, 인기를 끈 영상 속 장면이 곧 능력으로 정착되기도 합니다. 특히 여러 제작자들이 ‘AI 전투 영상’을 만들며 캐릭터에 새로운 능력과 라이벌 구도가 붙었습니다. 이런 식으로 이용자들이 함께 세계관을 확장하는 방식은 일종의 팬 캐릭터(Fan Character) 문화와 유사합니다. 대표적인 트랄라레로 트랄랄라 종류와 파생 캐릭터는 다음과 같습니다.

봄바르디로 크로코딜로 (Bombardiro Crocodilo)

(사진출처: 나무위키)

폭격기와 악어를 합성한 캐릭터로, 상공에서 폭탄을 투하하며 상어의 라이벌로 등장합니다.

버발로니 룰리롤리 (Burbaloni Luliloli)

(출처: CLIPS TODAY)

코코넛 껍데기 같은 겉모습을 가진 유쾌한 캐릭터로, 온화하지만 수줍은 분위기의 코코넛 생물입니다. 팬들은 그를 “순진한 동료”나 모험 도중 우연히 함께하게 되는 조력자로 묘사하기도 합니다. 간략한 독립 스토리나 게임 속 캐릭터로도 등장합니다.

프리고 카멜로 (Frigo Camelo)

(출처: Nazar’s Memes)

냉장고 몸통에 낙타 머리와 다리가 붙어 있는 기상천외한 조합. 사막과 주방이라는 전혀 다른 이미지를 합쳐 만들어진 브레인로트 세계관의 대표적 괴상 캐릭터 중 하나입니다.

퉁퉁퉁 사후르 (Tung Tung Tung Sahur)

(사진출처: 나무위키

인도네시아에서 만들어진 캐릭터로, 나무토막에 얼굴과 야구방망이가 합쳐진 모습입니다. 라마단 문화의 ‘사후르(새벽 식사)’에서 모티브를 얻었으며, 반복되는 음성과 불길한 얼굴로 강한 인상을 줍니다.

침판치니 바나니니니 (Chimpanzini Bananini)

(출처: AtilaKw)

바나나와 침팬지가 합쳐진 캐릭터로, 늘 바나나와 함께 등장해 원숭이 특유의 익살스러움을 과장합니다. 단순하면서도 중독적인 리듬감 있는 이름이 특징이에요.

리릴리 라릴라 (Lirilì Larilà)

(사진출처: 나무위키) 

코끼리, 선인장, 샌들을 합성한 캐릭터입니다. 시간을 멈추는 능력으로 묘사되며 초창기 주요 캐릭터로 꼽힙니다.

보네카 암발라부 (Boneca Ambalabu)

(출처: 인싸가족)

인형 같은 외형과 리듬감 있는 이름으로 알려진 캐릭터. 전통 인형에 기괴한 표정을 덧씌운 듯한 분위기로, 귀엽지만 어딘가 불편한 느낌을 주는 게 매력 포인트입니다.

브르르 브르르 파타핌 (Brr Brr Patapim)

(사진출처: 나무위키)

코주부원숭이 얼굴과 나무 팔다리를 가진 캐릭터입니다. 숲의 수호자라는 콘셉트로, 밈 인기가 떨어질 즈음 다시 주목받으며 ‘밈 역주행’을 이끌었습니다.

트리피 트로피 (Trippi Troppi)

(출처: 혼스트럼프 코리아)

“Shrimp-Cat” 또는 “Bear-Fish King”으로 통칭되며, 새우 몸에 고양이 얼굴이 붙거나, 물고기 머리에 곰 몸통을 가진 두 가지 형태로 그려집니다. 물속의 왕처럼 강력하고, 반복적인 이름과 혼란스러운 이미지가 특징입니다. 이 외에도 다양한 동물·사물 합성체가 탄생해 인터넷상에서 함께 소비되었습니다.

사람들이 열광한 이유와 소비 방식

트랄라레로 트랄랄라가 인기를 얻은 배경에는 여러 요소가 있는데요. 묘한 중독성으로 뜻을 알 수 없는 음성과 조잡한 AI 이미지가 결합해 “이해할 수 없는데 웃긴” 매력을 만들었습니다. 또한 숏폼에 최적화된 짧은 영상 포맷 덕분에 틱톡과 유튜브 숏츠에서 빠르게 확산되었습니다. 참여형으로 이루어진 VS 전투 영상, 능력치 비교, 댓글을 통한 설정 덧붙이기 등 이용자들이 세계관을 직접 확장하는데 성공했고, 전세계에서 언어 장벽을 넘는 기괴한 유머가 공감을 받았습니다. 이 과정에서 다양한 소비 방식도 나타났는데요. 대표적으로 AI 전투 영상이 큰 인기를 끌었고, 부산 버스정류장 조각상 패러디나 게임 <마블 라이벌즈>의 이모트처럼 다른 콘텐츠와 결합되기도 했습니다. 팬들은 굿즈, 팬아트, 짤방 제작에 나서며 밈을 하나의 2차 창작 장르로 발전시켰습니다.

  • 묘한 중독성
  • 숏폼 최적화
  • 참여형 놀이 문화
  • 글로벌 공감 요소

마무리

트랄라레로 트랄랄라는 2025년 3월부터 6월 초까지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. 특히 새로운 밈이 한동안 등장하지 않던 시기의 이른바 ‘밈 대공황(Great Meme Depression)’을 끝낸 계기로 평가됩니다. 영미권은 물론 한국, 일본, 동남아시아에서도 유행했으며, 각 지역의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소비되었습니다. 대표적으로 인도네시아에서는 ‘사후르’ 캐릭터가 라마단 전통과 결합해 현지식 밈으로 변주되며 주목받았습니다. 비록 짧은 유행으로 그쳤지만, AI 이미지 생성·숏폼 영상·참여형 놀이라는 세 가지 요소가 어우러진 대표적인 밈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.

よかったらシェアしてね!
  • URLをコピーしました!
  • URLをコピーしました!

この記事を書いた人

목차